촌수 계산 완벽 정리! 참 쉽게 보다가도 조금만 나랑 멀어져도 뭔가 불투명해지는 촌수 계산과 촌수에 따른 호칭에 대한 정리, 이번 기회에 쏵 정리해버립시다요~
일단 촌수 계산을 위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알고 추가로 조금 외워두면 편한 촌수와 관련한 호칭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촌수 계산이란?
촌수란 친족 간의 혈연 관계를 나타내는 거리의 척도로, 숫자가 낮을수록 가까운 친척이고 숫자가 높을수록 먼 친척을 의미합니다. 원래 촌(寸)은 “손가락 마디”를 뜻하며, 촌수가 가까울수록 관계가 가깝다는 개념에서 유래했습니다. 한마디로 나랑 몇 단계 걸쳐 먼 사람인가 하는 것이지요.
2. 촌수 계산법 쉽게 이해하기
촌수는 기본적으로 직계는 1촌씩, 방계는 2촌씩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나란히 옆에 서있는 형제를 말합니다.
- 직계: 부모와 자식처럼 바로 연결되는 관계(1촌씩 증가)
- 방계: 형제, 사촌처럼 옆으로 갈라지는 관계(2촌씩 증가)
예를 들어:
- 부모와 자식: 1촌
- 형제/자매: 2촌
- 할아버지(조부)와 나: 2촌
- 삼촌(아버지의 형제): 3촌
- 사촌(삼촌의 자녀): 4촌
3. 각 촌수별 가족 관계 정리
촌수 | 가족 관계 |
---|---|
1촌 | 부모, 자녀 |
2촌 | 형제, 조부모, 손자녀 |
3촌 | 삼촌, 이모, 조카 |
4촌 | 사촌, 외사촌 |
5촌 | 당숙, 재종조카 |
6촌 | 재종형제(육촌) |
7촌 | 삼종숙, 삼종조카 |
8촌 | 삼종형제 |
4. 혼동하기 쉬운 촌수 계산 & 촌수 호칭 정리
(1) 친가 vs 외가
- 친가: 아버지 쪽 가족 관계
- 외가: 어머니 쪽 가족 관계
(2) 주요 친족 어려워 보이는 호칭만 쏙쏙
- 백부(큰아버지): 아버지의 형
- 숙부(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남동생
- 종숙(당숙): 아버지의 사촌형제(5촌)
- 재종형제: 사촌 형제의 자녀(6촌)
- 매형(매부): 누이의 남편
- 제수: 남동생의 아내
5. 촌수 계산기 앱 활용하는 것도 좋아요~
촌수 계산 헷갈릴 때는 촌수 계산기를 활용하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고는 아님) 그냥 알고 있는 게 있어보이지요.
6. 촌수와 호칭 다양한 예시로 알아보기
사실 쉽다면 쉬운데 설 명절이나 추석 요럴 때 여럿이 모이면 그 속에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순간 머리가 얼어붙지요,
그럴 때를 대비해서 여러 친족 관계를 예로 들어 촌수 계산 쉽게 하시도록 준비했습니다~
예시 1: 부모와 자식 촌수 계산
- 관계: 바로 연결
- 계산: 1촌
예시 2: 형제자매 촌수 계산
- 관계: 나 → 부모(1촌), 부모 → 형제(1촌)
- 계산: 1 + 1 = 2촌
예시 3: 삼촌/이모와 조카 촌수 계산
- 관계: 조카(나) → 부모(1촌), 부모 → 조부모(1촌), 조부모 → 삼촌/이모(1촌)
- 계산: 1 + 1 + 1 = 3촌
예시 4: 사촌 촌수 계산
- 관계: 나 → 부모(1촌), 부모 → 조부모(1촌), 조부모 → 친형제(1촌), 친형제의 자녀(사촌)(1촌)
- 계산: 1 + 1 + 1 + 1 = 4촌
여기까지는 이제 너무 쉽지요? 그러나 우리가 흔히 사돈의 8촌이란 말을 하잖아요? 4촌 이상만 돼도 머리 아파지는게 당연하지요, 그래서 촌수별로 호칭까지 다 준비했습니다.
7. 촌수 별 친족 호칭 총정리
8촌까지 촌수 계산 / 친인척 호칭 다 모았다
1촌 (직계 가족)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2촌 (형제자매, 조부모, 손자손녀)
•형 (남자가 부르는 형제)
•오빠 (여자가 부르는 형제)
•누나 (남자가 부르는 자매)
•언니 (여자가 부르는 자매)
•남동생
•여동생
•할아버지 (친할아버지, 외할아버지)
•할머니 (친할머니, 외할머니)
•손자
•손녀
3촌 (부모의 형제자매 및 조카)
•큰아버지 (아버지의 형)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남동생, 삼촌)
•고모 (아버지의 자매)
•고모부 (고모의 남편)
•외삼촌 (어머니의 남자 형제)
•외숙모 (외삼촌의 아내)
•이모 (어머니의 여자 형제)
•이모부 (이모의 남편)
•조카 (형제자매의 자녀)
•조카딸 (여자 조카)
4촌 (사촌)
•사촌 형 (남자가 부르는 형뻘 사촌)
•사촌 오빠 (여자가 부르는 오빠뻘 사촌)
•사촌 누나 (남자가 부르는 누나뻘 사촌)
•사촌 언니 (여자가 부르는 언니뻘 사촌)
•사촌 동생 (같은 세대의 나이 어린 사촌)
5촌 (부모의 사촌 및 사촌의 자녀)
•5촌 당숙 (당숙) – 아버지의 사촌 형제
•당숙모 – 5촌 당숙의 아내
•고종사촌 – 고모의 자녀
•이종사촌 – 이모의 자녀
•외종사촌 – 외삼촌의 자녀
•종질 – 사촌의 자녀
6촌 (재종사촌, 종조부모)
•6촌 재종사촌 – 5촌 당숙의 자녀
•종조부 –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모 – 할머니의 형제
7촌 (종증조부, 재종질)
•7촌 종증조부 – 증조할아버지의 형제
•재종질 – 6촌 재종사촌의 자녀
8촌 (재종증손, 종고조부모)
•8촌 종고조부 – 고조할아버지의 형제
•8촌 재종증손 – 7촌 재종질의 자녀
8. 촌수 계산 친인척 호칭 그리고 가족의 현대적 의미
과거보다 촌수 개념이 약해졌지만, 가족 모임이나 상속 등에서는 여전히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심리적인 빈곤이 갈수록 커지는 요즘 어쩌면 일부러라도 더욱 강화해야 하는 가족의 개념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의 결론>
촌수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면 명절이나 가족 모임에서 혼동 없이 친척을 부를 수 있습니다. 직계는 1촌씩, 방계는 2촌씩 더하는 기본 원칙을 기억하세요! 너무나 상식적이라 오히려 실수 하면 치명타를 입는 부분이니까! 필요할 경우 촌수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